Posts

화재·폭발 물렀거라…'전고체 배터리'를 아시나요

Image
  손성호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달  15 일 한국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이 마비되면서 각종 서비스가 오랜 시간 동안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집에서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던 필자도 휴대전화에 문제가 있는 건가 싶어 전원을 수차례 껐다가 켰다. 또 인터넷의 문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무선 공유기의 상태까지 확인했던 기억이 있다. 이런 상황은 다음 날까지도 이어져 관련 앱들을 통해 제공되던 다양한 서비스가 제한됐고, 사용자들은 많은 불편을 겪었다. 언론을 통해 알려졌다시피 해당 문제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가 이용하던 인터넷 데이터 센터( IDC )에서의 화재 때문이었다. IDC 는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설비로, 인터넷 연결의 핵심이 되는 서버들을 한 장소에 모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역할을 한다. 정전 등으로 서버가 멈추면 안 되기 때문에 자가발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버가 다운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장치( UPS )’가 필수적이다.  UPS 는 비축해 둔 전기로 정전 때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주파수나 전압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기능의 대용량 배터리라고 보면 된다.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모음인 ‘랙( rack )’ 형태로 구성되는데, 주로 납축전지와 리튬이온이 함께 활용되거나 전체가 리튬이온으로 구성되는 추세이다. 사고 이후 있었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선 이번 화재가  UPS 를 위해 배치된 예비용 배터리 랙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가 집중 논의되면서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와 폭발에 관한 취약성이 주요 이슈로 다시 한번 떠올랐다. 1990 년대에 상용화되기 시작해 현대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이런 단점을 보완할 차세대 2차전지 중 하나가 ‘전고체( Solid-state ) 배터리’이다. 화재와 폭발 위험성이 있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액체 전해질을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은 고체